번호 | 연구주제 | 상세보기 |
---|---|---|
1 | 양자 오류 정정 게임 만들기 | |
2 | Cad 기반 3D 모델링과 IoT를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 제작 | |
3 | 지연 허용 네트워크에서 개선된 알고리즘 | |
4 | 동적 자원할당을 활용한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 최소화 | |
5 |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수술로봇 내시경 영상분석 기술개발 | |
6 | 딥러닝을 이용한 저방사선-고방사선 CT 영상 퀄리티 향상 기법 개발 | |
7 | 코로나-19 바이러스의 이온 통로 단백질이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| |
8 | 해마 신경세포의 발달과정에서 활동전위 변화의 분자적 기작 | |
9 | 벡스터 로봇 기반 로봇 시스템 제어에 관한 연구 | |
10 | 확산광학을 이용한 혈류 측정시스템 | |
11 |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성체 해마 신경줄기세포에서의 사멸과 치매 발병 악화기전 연구 | |
12 | 폴딩 방식의 새 로봇에 대한 속도조절 장치 개발 | |
13 | 실시간 피드백 제어가 가능한 근력보조용 스마트소재 외골격 글로브 개발 | |
14 | 뇌파 신호 측정 및 자극 시스템 (뇌-기계 인터페이스) 개발 | |
15 | 화재/폭발 위험이 없는 전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연구 | |
16 | 압전 현상을 이용한 유연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개발 및 응용 | |
17 | 광촉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자원화 연구 | |
18 | 미생물 연료전지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 생산 | |
19 | 온실가스 저감 및 수소 에너지원 생산을 위한 건식 개질 전이금속 촉매 개발 | |
20 | 머신러닝을 이용한 물리 연구 | |
21 | 주파수 특성 실험을 통한 기계 시스템 해석 및 설계 기술 | |
22 | 사멸세포 제작 및 대식세포에 의한 사멸세포 제거 관찰 | |
23 | 합성 온도에 따른 다공성 이리듐 산화물의 구조적 특징 및 촉매 성능에 미치는 영향 | |
24 | 펨토초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한 플라즈마 진단 | |
25 | 코로나바이러스-19 생활사 연구를 통한 COVID-19 치료기술 개발 연구 | |
26 | XRD를 통한 물질의 결정구조 이해 | |
27 | 안구 운동 분석을 통한 인간 인지 정보처리과정 탐색 | |
28 | 신재생 수소 사회를 위한 수소연료전지용 산소환원촉매 연구 | |
29 | (결맞음) 양자얽힘이란 무엇인가? | |
30 | 빛의 양자성에 대한 실험적 고찰 | |
31 | 친환경 식물 소재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리튬-황 전지의 제조 및 평가 | |
32 | 다양한 방사원리를 이용한 탄소 섬유 기반 웨어러블 소자 제작 | |
33 | 자기조립을 활용한 탄소 소재 기반 다차원 나노 구조 제작 | |
34 | GAN을 이용한 KSTAR 토카막에서의 플라즈마 평형 시뮬레이션 | |
35 | 다양한 플라즈마 환경에서 랑뮈어 프로브의 합성 데이터 생성과 실제 측정 데이터 분석 | |
36 | 차세대 디스플레이 양자점 개발을 위한 양자역학 기반 시뮬레이션 | |
37 | 생체 유래 매우 얇은 박막을 활용한 세포 배양 플랫폼 제작 | |
38 |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위한 디자인 | |
39 | 폐플라스틱 재활용과 자원화, 무엇이 더 친환경적일까? | |
40 | Single-Cell RNA sequencing을 기반으로 한 대규모 인간 면역 지도 제작과, 이를통한 난치성 암의 새로운 Chimeric Antigen Receptor Therapy 타겟 발굴 | |
41 | 감염성 바이러스 질환의 신속한 현장 진단을 위한 핵산 증폭 기술 개발 | |
42 | 특정세포로 분화를 위해 전사인자 과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인간 뇌 오가노이드의 성숙화 | |
43 |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광경화 3D 프린팅 및 응용연구 | |
44 | Bruxism 상태 진단을 위한 다층 색상 변조를 적용한 치과 투명 교정기 3D printing 적층 제조법 | |
45 |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첨단 에너지소재 연구 | |
46 | 난치병 치료제 생산을 위한 인간 유래 세포주 개발과 CRISPR/Cas9 기술의 활용 | |
47 | 인공지능 가상인체를 이용한 의약품 발굴 | |
48 | 간암발생시 간내 면역세포의 기능이해; 대사적 장기를 넘어서서 | |
49 | 사람 행동을 예측하는 컴퓨터 비전 모델 | |
50 | 유니티 시뮬레이션 환경을 이용한 무인자동차 자율주행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| |
51 | 세포 분열 전후 염색질 고유위치 보존의 실시간 관찰 | |
52 | 볼록 껍질(Convex hull)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와 응용 | |
53 | 지구 관측을 위한 인공위성 임무계획 알고리즘 연구 | |
54 | 전기차 충전소 입지선정 최적화 연구 | |
55 | 세포 내 자기 조립을 통한 암세포 사멸 연구 | |
56 | 인-메모리 컴퓨팅 기반의 심층신경망 가속기 설계 | |
57 | 저항성 메모리 기술을 활용한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| |
58 | 실리콘/페로브스카이트 탠덤 태양전지 제작 |
과제상세보기X
연구주제(국문) | 발암과정에서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변성 기전 연구 | ||
---|---|---|---|
연구주제(영문) | eprogramming of mitochondrial functions during tumorigenesis | ||
지도기간 | 사전과제 수행 기간(온라인) : 2016.1.2. - 1.15 (2주간, 주단위로 과제 부여) 연구 지도기간 : 2016. 1.25(월) - 1.29(금) 5일간 |
||
연구주제 소개 및 내용 | [발암과정에서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변성 기전 연구] ◎ 배경 고령화사회가 되면서 암으로 인한 사망자숫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음. 암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 운 치료 및 진단기술이 필요함. | ||
첨부파일 | 첨부파일1 : 연구보충자료.hwp 첨부화일 2: lab프로그램 일정표.hwp | ||
본 연구주제에 참여할 학생(들)에게 요구되는 소양 및 자세 | * 학생 수 | ( 4)명 | |
1. 발암기전에 관심이 있는 학생 2. 치료제 개발과 관련된 기초지식을 배우고자 하는 학생 |